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 AWS)는 합리적인 가격과 안정성, 그리고 기술력들이 총집합 되어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다. 정말 온갖 종류의 웹 클라우드 관련 서비스와 훌륭한 기술력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가격 또한 압도적으로 효율적이기 때문에 개인, 기업을 가리지 않고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사소한 도메인 구입과 관리부터 호스팅, 클라우드 서비스까지, 인터넷에서 무언가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려면 반드시 친해져야 하는 서비스이기도 하다.
다만 아무래도 미국 기업이다 보니까 순수 한국인들에겐 메뉴, 설정, 문화, 언어 등 모든 면에서 접근성이 조금 떨어지는 게 유일한 단점이다. 하지만 막상 해보면 쉬운 부분은 또 엄청 쉽게 되어있기 때문에 부담가질 필요는 없다. 오늘은 그 기초 중의 기초인 계정 생성 방법과, 회원가입을 하면서 발생하는 의문점과 궁금증들을 해결해보자.
- 아마존 웹 서비스 (AWS) 계정 생성 방법과 FAQ
- Amazon Route53 도메인 구입! 가장 쉽고 세세한 튜토리얼

아마존 웹 서비스(AWS) 회원 가입, 연락처 정보(Contact information)
참고로 AWS를 가입하면서 기입하는 정보는 모두 영어로 적어야 한다. 사이트의 언어를 한국어로 바꾼다고 해도 기입은 영어로 하는걸 잊지 말도록.
- 우선 아마존 웹 서비스 (AWS) 회원가입 페이지로 이동해서 회원가입을 시작한다. 우측 상단의 'English'를 '한국어'로 변경해서 진행할 수도 있지만, 오역도 좀 있고 오히려 불편하기 때문에 깔끔하게 영어 상태 그대로 진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 순서대로 'Email address'엔 이메일 주소를, 'Password'에 비밀번호, 'Confirm password'에 비밀번호 확인, 'AWS account name'에 계정 이름으로 사용할 이름을 적는다. 본명으로 적어도 되고 계정명을 적어도 된다.
- 다음은 연락처 정보(Contact information) 페이지를 채워야 한다.
- 계정 유형(Account type)은 개인(Personal)을 선택한다.
- 이름(Full name)에는 이전 페이지에서 입력했던 이름이 그대로 입력되어 있는데,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변경하고 싶으면 변경해도 된다.
- 전화번호(Phone number)에는 국가번호를 포함해야 하는지, 그냥 적는지 의문이 생기는데, 그냥 적어도 된다. 다만 대쉬 '-'는 빼고 기입한다. (ex 01012345678)
- 국가/리전(Country/Region)은 국가 대한민국(Korea, Republic of)을 선택한다.
- 주소(Address)의 두 칸 중 위에 칸에는 읍/면/동 까지의 주소, 도로명 주소를 적고, 아래 줄에는 아파트, 빌딩, 층 등의 상세주소를 적는다. 영어 주소는 네이버 한글 주소 → 영어 주소 검색을 통해 손쉽게 알아낼 수 있다.
- 구/군/시(City)에는 말 그대로 '구/군/시'에 해당하는 주소를 적는다.
- 시/도 또는 리전(State/Province or region) 또한 시/도명을 적는다.
- 우편 번호(Postal code)에는 숫자 5자리의 우편번호를 기입하면 된다.
- 필수 동의와 선택 동의를 체크하고, 노란색의 'Create Account and Continue'를 눌러 완료하고 다음으로 진행한다.
결제 정보(Payment Information)
아마존 웹 서비스(AWS)는 회원가입 할 때 신용/직불 카드를 계정과 함께 연동해 등록한 뒤, 그 계정에서 서비스를 진행할 때 등록되어있는 카드로 결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때문에 반드시 결제 정보를 입력해야만 회원가입을 완료할 수 있다. 결제 정보를 입력하면 확인을 위해 1$가 결제되는데, 정상적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고 이후 자동으로 취소되니까, 전혀 걱정할 것 없이 진행하면 된다.
- 신용/직불 카드 번호(Credit/Debit card number) - 계정과 연동시키고 앞으로 사용할 신용카드 등의 카드번호를 적는다. 대쉬 '-'는 빼고 기입한다.
- 카드 만료일(Expiration date) - 해당 카드의 만료 일자를 기입한다. 당연하게도 앞의 2자리 선택이 월을 의미하고, 뒤의 4자리는 년도를 의미한다.
- 카드 소유자 이름(Cardholder's name) - 해당 카드의 소유자 이름을 기입한다. 만약 본인의 카드가 아닌 카드로 진행하는 경우 등에도, 반드시 그 카드에 연동되어 있는 '해당 카드의 소유자 이름'을 적어야 한다.
- 청구지 주소(Biling address) - 이전 페이지에서 기입한 내 연락처 주소가 그대로 불러와 진다.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혹시라도 새 주소를 사용하고 싶다면 아래의 새 주소 사용(Use a new address)를 눌러 새 주소를 입력한다.
- 하단의 보안 전송(Secure Submit)을 눌러 완료한다.
자격 증명 확인(Confirm your identity)
한국 서비스로 치면 '휴대폰 번호 인증' 같은 인증 과정이다.
- 확인 코드를 어떻게 보내 드릴까요?(How should we send you the verification code?) - 인증방식을 선택한다, 기본으로 설정되어있는 문자 메시지(Text message)나 음성 통화(Voice call) 중 선택한다.
- 국가 또는 리전 코드(Country or region code) - 대한민국 +82(Korea, Republic of) 을 선택한다.
- 휴대전화 번호(Cell Phone Number) - 휴대전화 번호를 입력한다. 국가번호와 함께 적을 때에는 맨 앞의 '0'을 빼야 한다. 우리는 국가번호 '+82'를 위의 메뉴에서 선택했으니, 예를 들어 전화번호가 '010-1234-5678' 이라면, 대쉬를 빼고 '0'을 뺀 '1012345678'이라고 기입하면 된다.
- 보안 검사(Security check) - 화면에 보이는 보안 문자를 그 아래 텍스트 박스에 입력하고, 하단의 'Send SMS'를 눌러 확인하면 인증 문자가 온다.
- 확인 코드 입력 - 잠시 기다리면 입력한 휴대전화 번호로 문자가 날아오는데, 여기에 씌어있는 4자리 코드를 입력하고 '코드 확인'을 누르면 모든 인증이 완료된다.
지원 플랜 선택(Select a Support Plan)
모든 가입을 마치고 나면, 기본 플랜(Basic Plan), 개발자 플랜(Developer Plan), 비즈니스 플랜(Business Plan) 중 선택해야 한다. 기본 플랜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니 이걸 선택하면 된다. 만약 다른 플랜을 선택하고 싶다면 가격과 내용을 읽어보고 선택하면 된다.
지원 플랜까지 선택하고 나면 드디어 회원가입이 모두 완료된다! 계정이 활성화가 되면 완료 이메일을 준다고 한다. 아무래도 단순한 사이트 가입이 아니기 때문에 약간의 시간이 필요한 것 같은데, 얼마 지나지 않아 활성화 메일이 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주 의문이 생기는 부분을 되짚자면 다음과 같다.
FAQ
계정 생성 시에 사소하지만 꽤나 중요한 부분들인데, 이에 대한 정보가 웹에 없어서 직접 튜토리얼을 진행했다. 추가적인 질문사항은 댓글로 남긴다면 아는 한에선 전부 답해주겠다.
- 아마존 웹 서비스 (AWS) 계정 생성 방법과 FAQ
- Amazon Route53 도메인 구입! 가장 쉽고 세세한 튜토리얼